본문 바로가기
A카테고리

미술교육이론 로웬펠드(V.Lowenfeld) 미술교육사상 정리 미술교육대학원 미술교육레포트 정리

by 아이와그림 2025. 1. 9.
반응형

 

미술교육이론 로웬펠드 미술교육사상

 

 

미술교육이론으로 로웬펠트(V.Lowenfeld)의 미술교육사상을 알아보자.

미술교육대학원과 미술교육학과 레포트, 과제에 필요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반응형

 

 

1) 로웬펠드(V.Lowenfeld)의 연구

 

 로웬펠드는 어린이의 순차적인 발달을 매우 중요시한다. 어린이가 태어 나서 성장하면서 일정한 단계를 거쳐 발달하며 어떤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서는 반드시 그전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래서 미술교육은 먼 저 어린이의 일반적인 발단단계를 정확하게 연구하고 그에 맞는 동기부여 재료 등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루하고 기계적인 것으로 보는 반복에 대해서도 로웬펠드는 어린이에게 반복이 필요한 시기가 있으며 그것은 자신과 환경 안에서 질서를 발견하려는 교육의 표현이라고 믿었다. 즉 반복적 도식은 추상적 사고로 발달하기 위해 중요한 것이며 질서 있는 연관성을 추구하는 능력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⑴ 난화기 (TheScribblingstage:2~4세)

 

 난화기는 크게 무질서한 난화기,조절하는 난화기, 명명하는 난화기로 구 분 되며 이 단계에서는 무엇인가 그린다는 목적보다는 감각이 주변 환경과 접촉하면서 그 반응으로 그림을 그린다. 시각과 손의 근육운동이 협응이 시작하여 불규칙한 선을 그리고 즐기는 것에 점차 발전되어 회전형태가 나타 난다. 불규칙한 선은 수평, 수직, 파형, 혼합형 등 좌우상하로 회전되며, 어 떤 상징적 의미가 나타나는 형태가 그려지고 자신이 그린 그림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하는 단계다.

 

 

⑵ 전도식기 (ThePreschematicstage:4~7세)

 

무의식적인 표현과정으로부터 점차 의식적인 표현과정으로 옮겨지는 상 징적 도식의 기초단계이다.이 시기의 특징은 표현된 것과 대상과의 관계를 발견하기 시작하며 아는 것을 그린다. 인물을 주로 많이 그리고 나무, 해, 산 등을 그린다. 그림들은 자기중심적이며 동화적 꿈이 담긴 내용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⑶ 도식기 (TheSchematicstage:7~9세)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를 공식화하며 이를 도식적으로 표현한다.사물의 특징을 객관화시키려는 노력이 엿보이며, 인물이나 사물에 대한 개념이 부 족해서 집, 인물, 나무 등을 자꾸 반복하고 도식화한다. 공간개념이 싹트기 시작하며, 공간에 대해 분명한 질서가 이루어져서 기저선으로 땅과 하늘을 구분하고 모든 사물을 기저선(baselain) 위에 그린다. 그리고 중요한 부분 은 과장하고 중요하지 않는 부분은 생략한다. 투시(X-ray)적 표현을 하기 도 하며 시간표현에 대한 독특한 방법으로 기저선을 두 개 서서 연속 적은 로 일어나는 사건을 보여주는 그림도 그린다.

 

 

⑷ 또래집단기 (TheGangage:9~11세)

 

또래집단의 의사를 존중하고 도식적 표현에서 벗어나 세부표현을 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이 시기의 아동들은 시각과 지각의 발달로 거의 객관적인 상태에서 사물을 관찰하며, 주위환경에 대한 관심을 가진다. 도식적 표 현과 사실적 표현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율동적이고 장식적인 그 림을 많이 그리지만 대담성이나 자신감을 점차 잃어가는 경향이 있다.

 

 

⑸ 의사실기 (ThePseudo_Naturalisticstage:11~13세)

 

 사실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하며 시각형과 비시각형의 경향이 나타나는 시기이다.모든 묘사가 운동감이 많아지며, 삼차원적 표현을 하며 원근법이 나타난다. 본 것을 그대로 그리는 시각형과 느낌과 감정을 그리는 비시각형으로 나타난다. 어린이가 그의 작품에 대해 판단능력을 가지게 되며 스스로 표현활동에 참여하는 마지막 시기다. 그림을 잘 그리는 아동과 잘 그리지 않는 아동의 차이가 점차 나타난다.

 

 

⑹ 결정기 (ThePeriodofdecision:13~17세)

 

 창조적인 그림을 그리는 시기이며 주변 환경을 창의적으로 받아들여 표 현이 촉각형,시각형,중간형으로 나타난다. 시각형은 외관과 비례, 명암, 배 경, 원근 등을 중요시하여 주변 환경과 자신의 눈을 통해 알고 느낀 것을 표현한다. 촉각형은 주관적 경험과 내면적 정서를 표현하고 색채와 공간을 주관적으로 표현한다. 중간형은 두 가지 표현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외부환경에 대한 인지능력과 표현기능이 따라가지 못하는데 갈등을 느껴 미술표현이 일부 침체되기도 한다.

 

 

출처 : 이규선,등,미술교육학개론,서울:교학사,1995

          전치정. 2008. 아동미술의 발달단계에 따른 지도방안 연구 - 도식기 아동을 중심으로 -,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술교육이론으로 로웬펠트(V.Lowenfeld)의 미술교육사상을 참고하여 미술교육대학원과 미술교육학과 레포트, 과제에 필요한 이론으로 참고하길 바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