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카테고리

민화에 그려진 소나무와 바위의 의미

by 아이와그림 2022. 11. 1.
반응형

장생도의 소나무의 의미

나무 중에서도 소나무는 친숙함, 안정감,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특히 노송나무는 신뢰감을 줍니다. 중국 동진 때 곽복이 지은 박물지 산해경으로 그린 지도 중에 천하도가 있다. 천하도에는 그 높이가 하늘에 닿는다는 전설적인 산인 곤륜산을 중심으로 둥글게 사방을 그리고, 동서남북의 극에는 우주산을 그리고, 북쪽에는 천리 반목, 동쪽에는 일월상, 서쪽에는 일월 입 반격 송이라 적어놓고 있다. 지도에서 우주산 상봉에는 각 방향에 맞도록 각각 우주목을 그려놓았다. 고대 사람들은 해와 달이 동쪽 뽕나무에서 떠오르고 서쪽 소나무를 속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믿었다. 여기에서는 뽕나무와 소나무가 농업 사람들의 삶에 매우 유용한 가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신수로 간주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나무는 음양오행에서 보면 목성과 서쪽을 상징하며, 한편으로는 영원한 생명을 가진 것으로 여겨져 송수 천년이라고도 한다.

소나무 그림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삼국사기 열전 솔거 조에서 통일신라시대의 화가 솔거가 황룡사 벽에 노송도를 그렸는데, 얼마나 사실적으로 잘 그렸던지 날아가던 새가 진짜 소나무로 알고 앉으려 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민화에 그려지는 노송나무는 장수를 상징하며 배경에는 구름과 해가 많고 소나무 아래에는 학이나 사슴, 불로초, 괴석 등 장수의 생물이 놓여 있습니다. 특히 노송에 학과 사슴이 함께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는 노송나무 가지가 대각선으로 처진 모양이나 마치 용이나 학처럼 멋이 나는 소나무도 많이 보인다.

소나무가 일 년 내내 푸른빛을 발하는 특성을 통해 절개나 지조를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를 그림이나 시문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 예는 한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논어의 자한 편에는 '세한연후 지송 백지 후조야'라는 글이 있다. 추워지는 겨울이 되면 소나무와 잣나무, 즉 소나무의 푸른빛이 오히려 빛난다는 말이다. 추워지면 잎을 떨어뜨려 버리는 다른 나무에 비해 사계절 내내 변함없는 푸른색을 유지하는 소나무는 흔들리지 않는 생명의 절개나 지조를 상징하고 있다. 그러므로 송백은 은유적인 표현으로 시문이나 회화에 자주 등장했다.

 

장생도 바위의 의미

바위는 십장생 중 하나이며 영원불멸을 상징하는 의미가 있다. 또한 무구하고 확연한 모습은 군자의 모습을 상징한다. 천년의 비바람을 거쳐도 변하지 않는 모습과 자연의 섭리에 의해 만들어진 아름답고 섬세한 부분은 선인들의 마음을 끌어들이기에 충분했다.
민화에 등장하는 바위의 모습은 수수하거나 단순한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의 형태에 모양을 주는 것으로 멋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동물과 인물의 형태를 연상시키는 방법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으며, 특히 호랑이 모양의 작품이 많다. 작품에 따라서는 음양의 조화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여성의 골반이나 남근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함께 그리는 경우도 있다.
괴석도 역시 노송도의 경우와 같이 바위만 단독으로 그린 것보다 다양한 동식물이 그려진 그림들이 많이 있다. 선비들이 좋아하는 매난국죽의 사군자와 함께 그린 바위는 꺾이거나 비틀어지지 않도록 표현해 유유자적하는 군자의 넉넉함에 비유하기도 했다.

반응형

괴석도 중에서도 소나무와 돌을 함께 그린 수석도는 산수화와 쌍벽을 이룰 정도로, 민화뿐 아니라 문인화에서도 즐겨 그렸던 화제이다. 소나무의 변하지 않는 녹색과 모든 종류의 바람과 파도에 직면해도 변하지 않는 돌과 바위의 부동으로 인해 수석도는 충절과 지조를 지키는 곧은 선비에 종종 비유된다.
민화의 수석도에 나타나는 소나무는 똑바르지 않고, 대각선으로 비틀거나 춤추도록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수많은 나무 중에서도 소나무만이 회화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것은 다루기 쉽고 어디서나 친숙한 것도 관계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만, 항상 녹색 잎을 붙여 장생하는 생태적 특징을 상징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괴석을 그려보지 않은 조선 시대 화가는 없다."라고 할 만큼 괴석은 그림의 소재로 자주 등장했다. 특히 평생을 괴석만 그렸다는 정학교(丁學敎, 1832~1914)의 괴석도는 그 예술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