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로 보는 꽃과 새가 어우러지는 우리의 그림
화조도의 꽃과 새, 어우러짐의 미학과 상징 화조도는 '화조'라는 말 그대로 꽃과 새가 사이좋게 어우러져 있는 정경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화조도는 화훼도에서 분화 혹은 발전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학자도 있으나, 그 내력이야 어떻든 민화 가운데 그 종류나 수량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해왔다. 꽃이 있으면 으레 나비가 있고 새가 있기 마련이다. 꽃밭에 나비나 새가 어우러져 사이좋게 노니는 장면은 그 생각만으로도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고남을 것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람들은 이런 정경의 아름다움을 시문이나 그림으로 표현해왔다. 민화도 예외일 수 없다. 매화, 동백, 진달래, 개나리, 오동, 솔, 버드나무, 해당화 등에 봉황, 원앙, 공작, 학, 제비, 참새, 까치 등을 물이나 바위를 배경으로 그린 그림이 화..
2022. 11. 3.
마음을 이끄는 아름다움의 꽃 그림 화훼도
아름다운 정표의 꽃 그림 이 세상에 꽃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 꽃은 제각기 독특하고 아름다운 모양과 빛깔, 그리고 향기를 가지고 있다. 화단에서 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습이나 그윽한 향기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도 있지만, 산과 들에서 아무렇게나 피고 지 는 이름 없는 들꽃이라도 자세히 살펴보면 마음을 끌지 않는 것이 없다. 산자수명하여 금수강산이라 일컬어지는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자연 풍광이 그림같이 아름답다. 우리 민족은 이런 아름다운 자연 속에 살면서 유난히 꽃을 사랑하였고 남다른 미적 감각을 갖고 있었다. 우리 민족은 꽃이 아름다움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번영, 부귀, 행복, 축복 등을 상징한다고 생각하여, 사랑, 숭배, 존경, 위문, 축하 등을 표하는 마음의 정표로서 다양한 종류의 꽃을..
2022. 11. 1.